사회복지학16 사회복지 정의론 1. 미카엘 요정의 눈가리개 1-1. 내용 요약 오즈의 마을에서 장애인 동생 그리고 부모님과 함께 사는 다람쥐 소녀는, 수해로 인해 실종된 부모님을 찾아다니다 우연히 마을 주민들의 논쟁을 듣게 되었다. ‘정의’가 무엇인지 알고 싶었던 소녀는 이후 자연스레 정의를 찾아 나서게 된다. 마을 한가운데 살고 있던 정의의 여신 미카엘 요정은 답을 알고 있을 것이라 생각해 찾아갔지만, 오히려 소녀에게 정의를 찾아 달라며 무지개를 내어준다. 미카엘 요정은 눈가리개를 쓰고 있었는데 그것을 누가 씌웠으며, 그것을 쓰는 것이 좋은 것인지 아닌지를 고민하느라 바빴다. 1-2. 인상 깊었던 부분과 이것을 통해서 하게 된 생각들 정치 우화에서 미카엘 요정으로 표현되는 정의의 여신 디케는 눈가리개를 쓰고 있는데, 이는 편견을 갖.. 2023. 8. 8. 사회복지 행정론 1.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미국은 사회복지행정이 독립된 학문 분야로 가장 먼저 발전한 국가이다. 100여 년에 걸쳐 사회복지행정의 학문적 발전과정과 축을 형성해왔으며 이 때문에 사회복지행정을 논하는 데 있어 미국은 그 어떤 나라보다도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반면, 한국은 어떨까. 한국의 사회복지행정 역사는 그다지 길지 않다. 한국은 20세기 후반까지 경제성장 위주의 국가정책으로 사회복지를 충분히 실현할 상황이 아니었으며, 사회복지서비스의 절대적인 공급 부족으로 행정적 개입의 필요성이 크지 않았다. 한국의 초기 사회복지기관은 전문적 행정가가 운영하기보다는 주로 종교적 동기, 봉사 정신에 의하여 설립・운영되었다. 한국에서 민간에 의한 본격적인 사회복지 사업의 참여는 1945년 광복 이후 6・25전쟁을 겪으.. 2023. 8. 3. 사회복지 법제와 실천 1. 사회복지법을 학습해야 하는 이유, 사회복지법과 실천의 연계 중요성 사회복지법은 사회복지 실천을 규정하고 있는 법적 규범이다. 사회복지법은 사회복지 실천을 바탕으로 형성되며, 사회복지 실천은 사회복지법의 법적 규정 안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사회복지 실무자는 규정된 사회복지법의 테두리 안에서 비로소 사회복지 실천 내용과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사회복지법의 법적 규정을 벗어나서는 사회복지 실천이 이루어질 수도,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없기 때문에, 사회복지법을 학습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사회복지에서 법과 실천은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복지를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복지 실천으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이를 이분법적으로 나누긴 어렵다. 그러나 단순히 .. 2023. 8. 3. 빈곤론 1. 존슨 대통령의 위대한 사회, 현재 우리 사회에 주는 함의, 그리고 내 생각. 여러 국가에서 사회복지가 등장하며 빈곤퇴치를 위한 국가적 노력이 시작되었다. 대표적으로 1601년 영국의 엘리자베스 구빈법, 1960년대 미국의 빈곤과의 전쟁, 1971년 호주의 빈곤 조사위원회 구성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1960년대 미국에서는 존슨 대통령이 빈곤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위대한 사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위대한 사회’에서는 크게 4가지를 보장한다. 빈부와 상관없는 교육의 기회, 최소한의 생존권, 기회의 평등 그리고 투표권이 그것이다. 또한 이를 위해 다양한 내용을 담은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노인에 대한 의료를 지원하며, 젊은이를 위해 교육 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기업인에게는 세금을 환불해 주며, 노동자.. 2023. 8. 3. 이전 1 2 3 4 다음